[뉴스분석]정부는 “안 올랐다”…이상한 물가 통계

2018-05-23 2



[리포트]
체감 물가는 끊임 없이 오르는데 정작 정부가 발표한 물가상승률은 안정적 입니다. 어떻게 된 걸까요?

산업부 김진 기자와 이야기 나눠 봅니다

김 진 기자 오늘의 키워드는 뭡니까?

네 '올랐지만 안오른 물가'

앞서 보신 것 처럼 물가가 많이 올라 힘들다고 아우성인데 정작 정부는 안 올랐다고 강조하면서 서로 엇갈린 반응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질문 1] 정부는 왜 안 올랐다고 하는지 짚어 주시죠.

냉면, 삼겹살 등 외식비와 가공품의 값이 많이 올랐는데요. 정부가 발표한 물가 그래프를 한번 보실까요.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도 물가가 1.6% 밖에 오르지 않았고, 7개월간 낮은 물가 상승률을 유지했다는 겁니다.

지난달에 기획재정부가 밝힌 입장입니다.

"향후의 대체적인 물가 흐름도 현재의 안정세를 지속할것으로 전망된다."

소비자들은 과연 정부의 설명에 동의할까요. 직접 들어보시죠.

[김석현 / 서울 동대문구]
"예전에는 밖에서 사먹고 그랬는데 용돈이 부족해져서 학식(학교식당) 먹고 있어요. 1% 올랐다고요? 체감하는건 많이 올랐다고 생각해요 한 10%로."

[질문 2] 이 그래프대로만 보면 정부 말대로 물가는 안정적이네요. 서민들이 느끼는 물가와 딴판인 이유가 뭡니까.

물가가 오른 품목을 보면 피부에 직접 와닿는 감자, 무 식재료 등입니다.

또 최저임금 상승 여파로 각종 서비스요금까지 많이 뛰었는데 치킨을 배달시키면 배달료 2천원을 추가로 지불해야합니다.

이런 점을 잘 아는 정부가 물가 관리를 위해 한가지 묘책을 쓰고 있습니다. 전기요금, 수도요금 등의 인상을 억제하는 겁니다.
공공요금은 작년대비 2.5% 하락했습니다.

그런데 통계청에서 물가상승률을 계산할 때 항목별로 가중치를 두고 계산하는데요. 문제는 실생활에서 많이 주문하는 음식의 배달료에는 가중치가 전혀 없지만 분기별로 가끔 내는 공공요금에는 가중치가 170이나 붙기 때문에 체감 물가와는 다소 동떨어진 격차가 나오고 있습니다.

[질문 3] 그러면 정부가 물가를 집계하는 방식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닙니까?

호박을 포함해 값이 많이 오른 항목의 가중치는 0.5, 1.0 정도에 불과한 반면, 물가가 하락한 월세, 휴대전화 요금 등의 가중치가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휴대전화 요금 역시 정부가 인상을 억누르는 항목이라 실제 상황을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정부는 물가 산정 품목과 가중치를 5년마다 변경하고 있어 빠르게 변하는 시장의 움직임을 제때 반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산업부 김 진 기자 였습니다.